소련사회의 성격문제-무엇이라고 부를것인가? (스탈린주의란 무엇인가?)

제 언 : 소련사회를 평가하는데 스탈린주의가 무엇인지 어떤 성격을 가지고 지배이론을 갖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 있어서 이론자체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역사적 상황에서 스탈린주의를 바라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스탈린주의 뿐만이 아니라 사회주의이론의 특징이 현실에 대한 변증법적인 관계 속에서 도출되는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3.1 E.H Carr의 평가 및 견해

※참고도서 : E.H Carr, 『러시아 혁명-레닌에서 스탈린까지(1917-1929)』, 나남, 1983

문제인식 : Carr의 견해를 통해서 소련사회의 정치체제 양식에 대해서 알아보고 평가를 정리한다. 「17장:독제재의 양식」부분을 요약 및 정리

경제의 공업화와 근대화로의 경향(일국사회주의)과 러시아 민족의 권력과 위신의 재건으로의 경향은 스탈린에게 확고한 통제력을 주었다. 이 힘은 단지 스탈린의 정치적 교묘함과 기구의 능률성 그리고 반대의견의 억압을 위해 취해진 수단의 가혹함 등으로 돌리는 것은 오해이다. 스탈린의 강력한 지도력뿐만이 아니라 대약진에 대한 열광은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그 외의 다른 부분에 무관심하도록 하였다. 그것은 정부로부터의 제압을 연상시키며 그것을 불가피한 악으로 보게 만들기에 적당한 사회였다.

그는 야망의 정점에 서기전에 그의 독재의 성질을 충분히 드러냈다. 집단화, 강제수용소, 등은 그가 권력의 자리에 오르도록 원조했던 많은 사람들까지도 재판의 유무에 상관없이 살해당했던 것으로 이어진다. 이것들은 역사․예술 등에 있어서까지 획일적인 정통성의 강제와 모든 비판적 의견의 억압과 함께, 전쟁의 승리와 그 수의 귀결에 의해서도 말소될 수 없는 오점을 남겼다. 흡사 피터대제와 같이 그는 가공할 만한 광폭성과 함께 근대화를 이루었다. 그의 업적으로 인해서 역사가들은 위대한 칭호를 줄 수 밖에 없다. 스탈린은 피터대제 이후 러시아에 나타났던 가장 잔혹한 전제자이며 또한 위대한 근대화의 추진자이다.

3.2 스탈린주의에 대한 트로츠키의 비판(소련사회의 성격문제)


※참고도서 : 레온 트로츠키, 김성훈 역『배반당한 혁명』, 갈무리, 1995.

배반당한혁명 상세보기

문제인식 : 스탈린주의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 트로츠키의 관점을 찾아본다. 트로츠키는 스탈린주의를 테르미도르적 변절이라고 평가한다.

트로츠키의 견해는 스탈린과 완전히 다른 부분이 있었다. 스탈린의 경제적 고립주의 서방에서의 혁명의 중요성을 격하시킨 민족주의적 견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를 동일선상에서 보는 견해 등이다 또한 스탈린 체제가 가지고 있는 관료주의에 대해서 비판을 하였는데, 관료제가 러시아적인 후진성의 소산이었다고 보았다. 소련사회에 대해서 국유재산(Nationalized Property)과 사회재산(Social Property)을 같은 것으로 부지 않고 있다. 두 가지의 재산이 같은 것으로 되기 위해서는 과도적 형태인 국가재산(State Property)의 형태가 사라져야 한다 소련에 있어서 소유권의 변화는 의미가 없고 관료제적 위계질서가 함께 수반되어서 국가자본주의 사회로 불리어질 수 있다. 그러나 트로츠키는 이러한 표현은 거부한다. 트로츠키의 분석에서는 관료제는 새로운 계급을 만들어내지는 않았다. 생산수단을 소유하지도 않았고, 자본가들처럼 자본을 축적하거나 물려주지도 않고 관료는 재충원되고 경제구조속에서 독자적인 재산을 가질 수 있는 기반도 없었다. 대신에 소련 사회는 트로츠키의 규정에 따르면 생산력은 갈수록 사회주의화 되고, 분배는 갈수록 부르주아적 규범에 따른다는 것이다. 두 가지 방향성, 즉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에서 관료적 지배에 의해서 자본주의로의 복귀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내 생각⇒트로츠키의 관료제 분석은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적실성을 잃고 있는 느낌이다. 소련사회에서 관료는 새로운 계급(계층이라고 부르기에는 더 경직적인)을 창출해내고, 단일집단에서 재충원된다. 경제 구조속에서 재산을 축적하고 기반을 다지게 된다. 트로츠키의 관료제 분석이 수정된다면, 소련사회를 국가(관료적 성격)자본주의라고 부르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 단어에는 정치적인 표현과 경제적인 표현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정치적 표현에 한정한다면 전체주의적 관료제 사회도 가능할 것이다. 그렇다면 사회주의도 자본주의도 아닌 전혀 다른 정치체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3.3 전체주의적 성격에 대해서


참고문헌 : 윤용선,「나치즘과 스탈린주의의 비교:전체주의론의 정치적 성격에 대한 비판적 고찰」,『서양사론 73』(2002, 6)

스탈린주의에 대한 정리

소비에트 사회는 1920년대에서 30년대까지 비약적인 공업의 발전을 실현하였고, 이는 독일 파시즘과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조건이 되었다. 소련이 없었다면 독일을 무너뜨리는 것이 어려웠을 것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이것은 혁명적 열기를 스탈린주의가 사회주의 경제건설에 집중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스탈린주의의 이론적 부분을 조금 더 살펴보면, 스탈린주의는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 하에서 형성된 이데올로기이다. 스탈린주의의 원천은 레닌주의까지 이어진다. 혁명시 볼세비키가 의지했던 가장 중요한 이론체계는 트로츠키의 영구혁명론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이 서유럽에서의 국제주의적 혁명이 좌절되면서 후퇴하기 시작했다. 이에 네프 정책이 실시되고 사회주의체제 유지를 위한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러한 정책의 후퇴는 곧 한계 상황을 만나게 되고 스탈린에 의해서 영구혁명론을 수정하는 일국사회주의론이 제기된다. 단순한 후퇴에서 사회주의 개별 건설을 도모하는 방향이 제시되는 것이다. 1920년대 서유럽에서 예상되었던 사회주의 혁명이 실현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적실성 명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지 않을 수 없다.

생산재 부문에 대한 집중적이 투자, 급속한 공업화 전략, 그리고 이와 관련된 식량위기, 공물징발, 항의 많은 비판세력들. 부하린, 트로치키들이 있었으나 스탈린은 결국 급속한 공업화를 끝까지 고수한다. 1934년 사회주의의 승리가 선포되고, 스탈린의 개인숭배가 굳어진다.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를 위해서 당의 간부들이 위치가 중요해지고 인민을 무시한 일당독재의 국가가 된다. 생산수준을 급격하게 달성한 공로를 인정해 역사적 위치를 세울 수는 있으나 사회를 이데올로기화된 원리들에 의해서 경직시켰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